검색결과 리스트
EDA_TOOL에 해당되는 글 2건
- 2013.06.10 pads 9.1 setup
- 2013.06.10 ORCAD 10.5 설치방법
글
pads 9.1 setup
파일 목록..
펌 :http://gangsanilee.tistory.com/1542
실제 setup 파일은 PADS9.3_mib.exe 이다.
이 파일을 클릭하면 Hardware Key, 동글 어쩌고, 나온다. Node ... 어쩌고 체크하고, next하면 잘 안될것이다. cancel 해도 안된다.
음... 그럼 어쩌노, 어째던 없애고 보면....
위와 같이 Mentor Install 이 생긴다.
이것을 클릭하고, 인스톨 파일을 load 한다.(PADS9.3_mib.exe )
그러면....이제 파일이 실제 install 될것이다.
1. 라이센서란 문구 나오면, Skip 한다.
2. PADS 9.3 설치파일 전체 체크 한다.
3. 라이센싱 시스템 인스톨 파일이 자동 으로 설치 된다.
skip 선택!
4, 그다음 c++ 2005 가 설치가 되면서 인스톨이 종료!
<3,4 오래 걸림.>
5, Auto.bat 클릭
Float.bat 클릭
MentorKG.exe 파일 클릭 하고 기다리면, notepad를 자동으로 열리면서 텍스트 문서가 뜬다.
만약, 그냥 아무것도 안나오고 닫혀 버릴 수도 있다. 이때는 cmd.com 창을 열고, 직접 찾아가서...
MentorKG.exe -h 한번 하고... MentorKG.exe.를 해보아라... 그러면 notepad가 열릴것이다.
......
여기서, 다른 이름으로 저장(*.dat), 저장위치는 아무곳이나, 그렇지만, MentorGraphics 폴더에 저장하자.
6. 이제 C:\MentorGraphics\Licensing 폴더 안에 setup.exe를 실행.
next 하면...
라이센싱 시스템이라고 뜬다. 여기서 3번을 클릭, 아까 저장된 라이센싱 파일을 찾아 등록 한다.
7. "complet" 이라고 문구가 뜬다. 라이센싱 완료.
전 아래 방법으로 설치해 보았습니다.
9.3 EFA 설치 파일을 가지고 계신분은 EFA file 압축 해제 후 생기는 폴더를 열어보면 keygen과 license file을 만드는 파일이 함되어있습니다.
운영체제에 따라 기존에 Lmtool 이용여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.
전 윈xp3 usb 설치버젼을 사용중이고 ads lmtool이 활성화 된 상태였습니다.
설치법
1. ****mib.exe 로 실행
2. Dongle 어쩌고 저쩌고 ****** 창 : next
3. license 어쩌고 저쩌고 ****** 창 : skip
4. modify 선택 후 아래 5번과 같이 여러 tab이 있는 창이 뜹니다.
5. 1) product selection tab -> 전체선택
2) path?? 암튼..설치경로 tab -> default
6. 5번과정 완료 후 4번 과정에서 본 화면으로 돌아옴.
modify 옆 install 클릭
7. 설치 시작 : 전 컴이 좋은편이 아니라 오래걸렸습니다.-_-;
8. 한참 설치 후 중간에 license 뭐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ㅂㅂㅂㅂㅂㅂㅂ 하는데 전 따로 창은 안뜨더군요.
오류 과정 비슷하게 한글로 시스템에서 사용할수없다 어쩌고저쩌고..
닫기 무시 선택창에서 무시 선택
9. 다시 설치 이어짐(선택사항없음)
10. C++ 어쩌고저쩌고 ok 계속 진행(정확히 생각은 안나는데 취소.. 안함.. 무시 .. 이런 선택창은 아니었어요 인스톨 진행하는 쪽으로 선택)
11. 설치 완료. license 등록 창 -> 3번째 다음에 선택함.
12. LICENSE.DAT 또는 LICENSE.TXT 만들기.
1) 처음에 말씀드린 바와같이 EFA 폴더내에 keygen과 bat 파일이 두개 더 있습니다.
auto.bat 클릭(창뜨고 사라짐)
float.bat 클릭(창뜨고 사라짐)
MentorKG.exe클릭(한~참 기다리면 TXT 파일 뜹니다)
다른이름으로 저장 *주의:이때 대문자 이름으로 [다른이름저장] ((LICENSE.DAT 라든지 LICENSE.TXT 라든지))하세요.
확장자명포함*
2) LICENSE file 생성 끝.
13. 환경변수 설정
이부분에서 기존 lmtool을 사용중이신분은 lmtool 이 활성화된 곳 (사용자 변수 또는 환경 변수)에 새 창을 등록하면 되는것 같습니다. 전 기존에 사용중인 lmtool이 있는곳(사용자변수)에도 등록하고 자료실에서 검색한 자료에서 권장한 환경변수(시스템변수)에도 등록한 후 확인 누르니 더이상 DEMO 로 동작하지는 않더군요.
* 환경변수 설정법 :
바탕화면 내 컴퓨터 우클릭 -> 속성 클릭 -> 고급tab -> 환경변수 ->상단 하단 두개
의 변수 중 선택. 또는 둘다
윈 세븐도 비슷 합니다. ^^
입력 내용
변수이름 : MGLS_LICENSE_FILE
변수 값 : C:\MentorGraphics\LICENSE.DAT
여기서 경로가 중요 합니다.
'EDA_TO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CAD 10.5 설치방법 (0) | 2013.06.10 |
---|
설정
트랙백
댓글
글
ORCAD 10.5 설치방법
참고 : http://samaim.tistory.com/5
1. 인스톨 CD 또는 이미지 파일을 가상드라이브에 로딩한다.
2. 인스톨화면이 나오면 인스톨 한다.
3. Install Prodects를 선택한다.
4. 그냥 빈 화면에서 next를 선택
5. 그냥 next 선택
6. Select all을 선택한 후 next
7. 설치경로 설정 후 next
8. 풋프린트 뷰어를 설치하는데 필요한거 선택한후 next
필요없으면 None 선택하고 next를 누른다.
9. 계속 next를 누르면 설치가 시작된다.
10. 설치가 완료되면 크랙파일을 설치된 ORCAD 폴터에 복사해야한다.
예)
C:\OrCAD\OrCAD_10.5 가 설치되었다면 이곳에 orcad_v105.dat 크랙파일을 복사한다.
C:\OrCAD\OrCAD_10.5\orcad_v105.dat
11. 환경 변수를 만들어 줘야 한다.
내컴퓨터 – 속성 – 고급 탭에서 환경변수를 클릭
새로만들기를 누른다.
변수에 CDS_LIC_FILE
변수값에 C:\OrCAD\OrCAD_10.5\orcad_v105.dat 를 기록한 후 확인을 누른다.
하나 더.
새로만들기를 누른다.
변수에 LM_LICENSE_FILE
변수값에 C:\OrCAD\OrCAD_10.5\orcad_v105.dat 를 기록한 후 확인을 누른다.
다음 확인을 모두 누르면 설치 끝…
'EDA_TO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ds 9.1 setup (0) | 2013.06.10 |
---|